전북자치도의회 오은미 의원(순창ㆍ진보당)이 20일 도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청년농업인 정책 진단과 발전 방안’을 주제로 제1차 청년농업인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오 의원에 따르면 23년 기준 도내 청년농(20~44세) 비율은 전체 농가인구(17만6천162명) 8.4%에 해당하며 21년 10.2%, 22년 9.1%에 이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에따라 농가인구 감소, 고령화로 소멸위기에 내몰린 농업ㆍ농촌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청년농업인의 목소리를 듣고 관련 정책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를 마련했다.
이날 토론회는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이수미 부소장과 (전)전북자치도 4-H연합회 이지훈 회장의 발제에 이어 오 의원의 사회로 전북자치도 4-H연합회 이강훈 회장, 더불어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 김후주 부위원장, 전북연구원 배균기 책임연구위원, 전북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 최재용 국장의 토론이 이어졌다.
발제를 맡은 이수미 부소장은 “정부의 청년농 지원 정책 중 스마트팜 지원사업은 초기 높은 투자비용과 부지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청년농업인 10명 중 6명 가량이 스마트팜 창업을 포기하고 있다”며, “정부가 청년농민 ‘육성’에만 집중하고 사후 대책은 부실해 청년들은 오히려 수천~수억 원의 빚더미에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익산에서 한우를 사육하고 있는 이지훈 회장은 “청년농업인이 영농활동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 중 주거문제가 크다”며, “금융권의 평가 기준을 개선하고, 농업인 전용 대출 상품 도입, 다양한 형태의 주택공급 확대, 지자체의 전세금 및 이자지원 등 지원 프로그램 확대 등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 의원은 “토론회를 통해 청년농 정책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더욱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 만큼 청년농업인의 생생한 목소리와 경험이 정책을 개선하는데 밑거름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