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전북 경제의 위기와 대응책


전북 경제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가계대출은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기업대출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그 속도가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가계대출의 구조적 문제와 기업대출 연체율 상승, 어음 부도율 급증 등은 전북 경제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금융기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절실하다.

전북 지역의 가계대출은 25조7천67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이는 가계의 대출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이며 특히 비은행권 대출이 급격히 줄어든 점은 금융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북의 전체 가계대출 중 예금은행 대출 비율은 46.4%로 전국 평균(75.7%)보다 현저히 낮아 금융권의 보수적인 대출 정책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반면, 주택담보대출은 증가했지만 기타 대출이 10.9%나 감소한 것은 가계의 소비 여력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 큰 문제는 기업대출과 관련된 지표에서 발견된다. 전북 지역의 기업대출은 41조6천157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 증가했지만,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4.8%)보다 낮은 수치다. 특히 비은행 기업대출의 의존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심각한 우려를 낳는다. 이러한 문제는 가계와 기업의 연체율 및 어음 부도율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지난해 말 기준 전북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으며 기업대출 연체율도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더욱이 1월 말 기준 전북의 어음 부도율은 1.4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 우선, 금융기관과 지자체는 예금은행 대출의 문턱을 낮추고, 보다 유연한 금융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예금은행 대출 비율이 낮은 만큼 보다 많은 가계와 기업이 안정적인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어, 비은행 대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기업들이 지나치게 비은행 대출에 의존하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정책금융을 확대하고 지역 기업들이 안정적인 금융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끝으로 연체율과 부도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가계를 대상으로 신속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금융당국과 지자체가 협력해 위기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북 경제가 직면한 위기는 단순한 일시적 어려움이 아니다. 가계와 기업 모두 금융 환경이 악화되면서 성장 동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경제 전반의 침체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이제는 금융당국과 지자체, 지역 금융기관이 힘을 합쳐 보다 적극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전북의 경제 위기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지금이야말로 선제적인 대응과 강력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