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의 숙원이던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 마침내 국회를 통과했다. 이번 법 개정으로 전주는 정부의 대도시권 광역교통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범위에 포함되며, 이를 통해 전북의 교통 인프라 확충과 지역균형발전이 기대된다. 법안 통과를 위해 힘쓴 지역 정치권과 관계자들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며 이제는 법 통과의 기쁨을 넘어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와 보완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광법 개정으로 전북은 광역교통망 구축에 있어 국가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가장 큰 변화는 전주를 중심으로 한 광역교통 체계의 확충이다. 광역철도,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광역도로망, 복합환승센터 등의 인프라가 국가 계획에 반영됨으로써 전주를 포함한 주변 지역의 정주 여건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이는 단순한 교통 편의성 증대에 그치지 않고 기업 유치와 물류 산업 발전 등 경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전주와 완주, 익산, 군산을 포함한 도내 주요 도시 간 이동이 원활해지면서 지역 간 격차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수도권과 광역시 중심으로 집중되었던 교통망 개발이 전북까지 확대됨으로써, 실질적인 국가 균형발전의 초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에 직면한 전북의 현실을 고려할 때, 정주 여건 개선은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유입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러나 대광법 통과가 곧바로 전북 교통 문제 해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법안이 통과된 만큼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면밀한 계획과 후속 조치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우선 전북도는 국토교통부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광역교통망 구축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교통 여건 분석을 바탕으로 광역철도 등 도로망 확충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체계적인 투자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법 개정으로 확보한 교통 인프라가 도민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교통시설 확충을 넘어 대중교통 시스템의 연계성과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전북이 진정한 대도시권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교통망 구축과 병행해 산업 및 경제 인프라를 동시에 확충해야 한다. 수도권 등 대도시로의 접근성이 높아지는 만큼, 이를 활용한 기업 유치 전략이 필요하다. 교통망이 확충되더라도 지역 내 경제 기반이 부족하면 인구 유출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대광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는 전북에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었다. 그러나 이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면 단순한 법 개정에 그칠 뿐,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기는 어렵다.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은 교통망 확충을 위한 철저한 계획과 재원 확보에 집중해야 하며 교통 인프라 구축이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대광법 통과가 전북 발전의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이제는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