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발표한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는 단순한 지역 발전 전략을 넘어 차기 정부 국정과제 선점을 위한 도정의 미래 비전이자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중장기 설계도로서 주목받고 있다. 총 65조 규모, 9개 분야 74개 전략사업으로 구성된 이번 프로젝트는 전북의 백년대계를 위한 로드맵이자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기회 삼아 지역의 체질을 바꾸려는 담대한 기획이다. 그러나 거대한 구상일수록 실현 가능성을 담보하는 전략적 보완과 실행력 있는 추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프로젝트가 실질적 변화를 이끌기 위해선 몇 가지 핵심적인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우선, 정치적 컨센서스 확보가 관건이다. 전북도는 차기 정부 국정과제 반영을 목표로 각 정당과 대선 캠프에 사업을 설명하고 설득할 계획이라 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정책 홍보를 넘어 해당 사업이 국정 철학 및 국가 전체의 이익과 어떻게 접점을 이루는지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전북만의 필요성을 제시하기보다 국가경쟁력 강화와 지역 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사업의 타당성과 긴급성을 설득하는 전략적 메시지가 필요하다.
사업 간 우선순위 조정과 예산 분산 리스크 관리도 요구된다. 74개에 달하는 전략사업 모두가 동시에 추진될 수는 없다. 제한된 재정 여건 속에서 어떤 사업이 즉시 착수 가능하고 어떤 사업이 중장기 과제로 분류돼야 할지에 대한 체계적인 로드맵과 우선순위 조정이 시급하다. 특히 올림픽 관련 SOC 확충과 관광 인프라 구축, 글로벌 테스트베드 조성 등은 외부 자본 유치 및 국가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들 핵심사업에 집중된 전략이 요구된다. 민관 협력과 전문가 집단의 상시적 참여가 추진력 확보의 열쇠다. 전북도는 이미 추진단을 구성, 사업 구상을 다듬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실질적인 실행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정책 설계-재원 확보-사업 시행에 이르는 전 주기적 프로세스를 관리할 전문기구와 민관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지역사회의 이해와 참여 유도도 빠질 수 없는 과제다. 메가비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지 행정이 주도하기보다 도민과 기업, 시민단체의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야 한다. 특히 인프라 개발이나 대규모 도시계획이 포함된 사업은 충분한 정보 공개와 공론화 과정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끝으로 정권 교체와 무관한 지속성 확보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지방정부의 장기 프로젝트는 정권 변화에 따라 좌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해당 사업이 국가적 아젠다로 자리매김하도록 법제화, 제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전북 메가비전 프로젝트는 지금까지의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도전이며 국가 균형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잠재력을 지닌 기획이다. 하지만 그 성공 여부는 얼마나 정교한 실행 전략과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기반을 갖췄는가에 달려 있다. 이제 중요한 것은 구상 그 자체보다 이를 실현시킬 ‘실천력’이다. 전북도의 담대한 꿈이 진정한 미래 비전으로 꽃피우기 위해 정치권과 도민, 중앙정부 모두가 함께 뛰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