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나의 내란 진압 소감(1)

유시민 / 작가

대한민국 국민은 손바닥에 ‘王’자를 그린 채 생방송 토론에 나온 사람을 대통령으로 뽑았다. 득표율 0.7퍼센트 포인트 차이였지만 국민 다수의 선택을 받았다는 것은 바꿀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게 대통령이 된 윤석열이 심야에 느닷없는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무장 군인을 보내 국회의원을 체포하고 국회를 봉쇄하려 했다. 절대 권력을 장악하려고 벌인 친위 쿠데타였다. 그는 손바닥에 글자만 쓴 게 아니었다. 정말로 왕이 되려고 했다.

특전사령관·수방사령관·경찰청장 등 국가의 합법적 강제력을 집행하는 군과 경찰의 최고위급 공무원들이 대통령의 위헌 위법한 지시를 이행했다. 국방부장관과 방첩사령관 등은 사전에 공모한 혐의가 짙다. 4월 4일 헌재의 파면 선고가 나온 순간까지 ‘집권당’이었던 국민의힘 국회의원 대다수가 계엄령 선포 행위를 옹호했다. 윤석열 탄핵에 반대했으며 탄핵을 기각하라고 헌법재판소에 요구했다. 헌법 파괴 행위를 지지하는 반체제 위헌 정당임을 공공연히 밝힌 것이다.

대통령 권한대행 한덕수와 최상목은 국회가 선출한 마은혁 헌법재판관을 끝까지 임명하지 않음으로써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어겼다. 한덕수는 지금도 매순간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고 있다. 그런 자가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탄핵 심판 결정을 따르라고 국민을 훈계했다. 국회가 다시 탄핵하지 않는다면 6월 3일까지 권한대행 자리를 지킬 것이다. 헌법을 위반했지만 위반행위가 파면할 정도로 중대하지 않다며 한덕수 탄핵을 기각함으로써, 헌법재판관들은 고위 공직자들에게 헌법을 적당한 선에서 위반해도 된다고 허락했다. 헌법의 효력을 사실상 정지시키고 헌법재판소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스스로 허문 행위였다.

윤석열 추종자들은 구속영장을 발부한 서부지법을 폭력으로 공격했다. 사상 초유의 법원 폭동이었다. 그런데도 지귀연 판사는 ‘마법의 산수’로 형사소송법 규정을 위반하면서 윤석열 구속 취소 판결을 내렸다. 검찰총장 심우정은 기다렸다는 듯 형사소송법 절차를 무시하고 윤석열을 풀어주었다. 그렇게 하고서도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대한민국은 판사와 검사는 법을 어겨도 징계나 처벌을 받지 않는 나라임을 우리는 보았다.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운명을 가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변론이 25일 마무리됐다. 지난해 12월 14일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의결서가 국회를 통과해 헌재에 접수된 뒤 73일 만에, 횟수로는 11차례 변론이 진행됐다.

지난 대선 때 윤석열의 권력 남용 성향과 폭력성을 정의감의 징표인 양 포장했던 대부분의 신문 방송은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정치적 중립’을 명분 삼아 내란 옹호세력에게 탄핵 추진세력과 동등한 발언권을 주었다. 어떤 언론사는 내놓고 내란 세력을 편들었다. 자유로운 언론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제도인데도 대다수 언론사는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호하는 데 관심이 없다. 독재정권이라도 자신의 이익만 해치지 않으면 얼마든지 받아들일 태세다. 정치적 독극물 또는 사회적 불량식품을 만들어내는 언론사가 너무 많다. 이런 현실은 앞으로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미국 사회학자 밀즈(C. W. Mills)는 군사·정치·경제 분야에서 지배적인 지위에 있으면서 의사 결정권을 행사하는 사람들을 ‘권력 엘리트(power elite)’라고 했다. 대통령·국회의원·국무총리·장관·장군·경찰청장·헌법재판관·판사·검찰총장·언론인 등이 다 거기 속한다. 윤석열의 내란을 막아낸 계엄의 밤부터 헌법재판소가 파면을 결정한 탄핵의 아침까지 122일 동안 우리는 한국 권력 엘리트의 ‘생얼’을 보았다. 그들은 헌법을 존중하지 않는다. 국민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헌법을 짓밟고 국민을 배신한다. 대한민국은 살얼음판 위에 위태롭게 서 있는 민주공화국이다. 국민도 권력 엘리트도 다 변변찮다.

그런데도 대한민국은 여기까지 왔다. 일제 강점에서 벗어나자마자 국토와 국가가 남북으로 찢어졌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민족까지 갈라졌다. 독재와 부패가 판치는 세계 최빈국이었다. 그렇게 아무것도 없는 폐허에서 출발해 산업화와 민주화를 이루고 선진국 대열에 합류했다. 코로나19 대유행 때는 세계의 모범이었고 지금은 영상예술과 대중음악으로 세계시민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있다. 국민은 윤석열 같은 사람을 대통령으로 뽑을 정도로 변변찮았고, 권력 엘리트는 비루하게도 헌법보다 자기 이익을 앞세우는데, 어떻게 대한민국은 여기까지 올 수 있었을까?

변변치 않은 우리에게 대단한 그 무엇이 있어서다. 수많은 시민들이 계엄의 밤에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온 무장 군인들을 맨몸으로 막아섰다. 시민들만 대단했던 게 아니다. 어떤 지휘관은 자신의 부대가 한강을 건너지 못하게 했다. 어떤 경찰 간부는 계엄사의 정치인 체포조 파견 요청을 거절했다. 그랬기에 야당 국회의원들은 국회의 담을 넘어 본회의장에 들어갈 수 있었고 일부 여당 국회의원들과 함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을 신속하게 의결할 수 있었다.<계속>


*  *  *
본 칼럼은 시민언론 민들레에 기 게재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외부원고 및 기고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