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 기능성식품지원센터가 설립 목적인 ‘지역농산물을 기반으로 한 식품개발’과 동떨어지게 운영을 해 온 것으로 나타나 혈세낭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여기에는 행정당국의 관리 소홀도 큰 몫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나며 무사안일의 행정이 도마위에 올랐다.
기능성식품지원센터(센터)는 임실군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식품개발 및 산업화를 목표로 2020년에 45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개소했다.
당초 센터는 기능성 식품 연구개발, 생산기술 지원, 관련 산업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임실군이 전국적인 기능성 식품 중심지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이를 통해 지역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지역민들의 소득 증대에도 기여할 것을 목표로 설립됐다.
그러나 2020년 개소 후 3년간 센터를 임대·운영해 온 업체에서 임실지역 농특산품을 원재로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센터를 관리·감독하고 있는 임실군은 지역농산물 소비를 촉진해 농가소득에 보탬이 되도록 해야 하지만 임실군에서는 지역농산물 소비에 대한 자료 자체가 없는 상태로 관리·감독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그간 임대업체의 임실지역 농산물소비 현황을 묻고 자료가 있는지 묻는 취재 질문에 “보유하고 있는 자료는 없다”고 답변한 후 “임대업체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이 없을 경우 계약재배나 위탁재배를 통해 지역 농산물을 활용할 수 있다“라는 황당한 답변을 내 놓았다.
애초 지역농산물 소비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센터를 임대업체 입맛에 맞춰 운영해도 된다는 취지로 들리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임실군 소재 농업회사 법인 A대표는 ”지역 특산물을 활용해 기능성 식품을 개발 하고 임실군의 전국적인 기능성 식품의 중심지를 만들어 지역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센터를 개소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지역농산물을 사용하지 않으면 군에서는 45억여 원의 세금을 들여 임대 사업을 했다는 것인지 알 수 없다“며 안이한 행정을 비난했다.
/임실=한병열·최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