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농촌진흥청 '농작물 병해·생리장해' 등 수집관리 시스템(CPDMS) 개발

원인 분석과 예방법 개발 활용..스마트폰 현장 영상 활용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연구자가 현장에서 농작물 병해와 생리장해 등 이상 증상을 간편하게 기록하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작물 생리장해 수집 관리 시스템(CPDMS)을 개발했다.

애플리케이션은 농작물의 병해와 생리장해 등 이상 증상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으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연구자나 농업인이 논밭에서 벼, 고추, 배추 등 작물에 특이한 이상을 발견하면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진을 찍어 올린다.

올린 사진은 증상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되며 실시간으로 독립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연구자들은 병해와 생리장해 원인을 분석하거나 예방법을 개발하는 데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별도의 설치 없이 정보무늬(큐알코드)를 찍어 접속할 수 있다. 또 화면 구성이 간단해 누구나 쉽게 사진을 찍어 올릴 수 있다.

연구진은 먼저 토마토를 대상으로 세균성 시들음병, 황화잎말림바이러스, 반점위조바이러스를 비롯해 가뭄, 염분 스트레스 등 관련 사진 총 5만 8,479장을 찍어 올렸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Database-The Journal of Biological Databases and Curation(IF 3.4)에 게재됐다.

농촌진흥청 농업생명자원부 김남정 부장은 “이 시스템은 다양한 작물의 병해와 생리장해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해 작물의 이상 증상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현장에서 많은 정보를 확보해 현장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 보급하는 데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