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전주형 AI 스마트도시, 전북 미래 혁신 모델로


전주시가 국토교통부의 ‘2025년 거점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최종 선정되면서 도시 혁신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번 선정은 전주뿐 아니라 전북 전체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중대한 계기가 될 것이다. 수원과 화성 등 쟁쟁한 도시들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거머쥔 이번 쾌거는 단순한 공모 선정 그 이상이다. 총 사업비 325억이 투입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국비 160억을 비롯해 도비와 시비가 함께 집행돼 지자체·중앙정부·민간의 삼각 협력 구조가 본격적으로 작동하는 스마트도시의 본보기라 할 만하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시민의 삶을 중심에 둔 ‘전주형 AI 스마트도시 모델’을 구현하는 데 있다. 이동식 금융서비스, 교통약자 맞춤형 이동수단, AI 기반 건강관리, 실시간 도로위험 정보 제공, 시민참여형 탄소 리워드 등 다방면에서 시민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키는 서비스를 담았다. 특히 AI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도시 기능의 통합과 최적화는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처럼 작동하게 하는 스마트 도시의 정수를 보여준다.

전주는 이 사업을 통해 도시 전체를 하나의 연결된 데이터 생태계로 전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행정·의료·교통·환경 등 주요 생활영역의 서비스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이는 곧 시민 개개인의 필요와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대응하는 초개인화 도시관리 시스템의 구현이기도 하다. 이로써 전주는 기술로 삶을 변화시키는 ‘살기 좋은 스마트 도시’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번 사업은 전주를 중심으로 전북 전역에 스마트 기술을 확산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전주역, 한옥마을, 구시가지 등 중심지역을 기점으로 도시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인근 지자체로 서비스와 기술을 확산해 전북 전체의 스마트 도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

이번 사업은 공공과 민간의 협업모델 측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전주시와 전북자치도,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전주시정연구원, 전주대학교 등 공공기관뿐 아니라, 현대차·기아차·KT·마이크로소프트·전북은행 등 국내외 굴지의 기업들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고령화, 1인가구, 의료사각지대 등 지역이 안고 있는 현실적 문제들을 기술 기반으로 정면 돌파하려는 시도다. 찾아가는 진료소, AI 약자돌봄케어 등은 지역사회의 포용성을 높이는 스마트복지 모델로, 기술과 휴머니즘이 결합된 정책 실현의 대표 사례가 될 것이다.

정동영 의원의 지원은 이번 성과의 중요한 동력 중 하나였다. 그는 전주시를 ‘도내 스마트도시 확산의 거점’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지속가능한 도시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약속했다. 지금 전주는 단지 기술적 진보의 단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삶의 양식을 바꾸고 시민과 공동체, 행정이 서로 연결되는 새로운 도시모델을 실험하고 있다. 그 첫 발걸음이 성공적으로 시작된 만큼 이 여정이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궁극적 목표로 귀결되길 기대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