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찰청(청장 김철문)은 최근 전국적으로 군부대 등 공무원을 사칭한 ‘노쇼(No show) 사기’ 범죄가 기승하고 있어 다양한 대책을 세우며 논의했다.
‘노쇼’란 손님으로 가장해 허위 예약이나 주문을 하고, 대리 구매나 대리 결제를 요구하는 사기행위이다.
전북경찰청은 이에 따라 24일 ‘범죄예방 대응 전략회의’를 열었다.
경찰에 따르면 금년 한 해에만 도내에서 벌써 약190여건의 피해신고가 발생했으며, 이 중 외식업을 대상으로 한 사기 사건이 가장 많았고 유통업, 제조업 등 소상공인들을 대상으로 범죄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그 수법도 교묘해져, 피해자들을 속이기 위해 가짜 기관 직인이 들어간 허위 공문서나, 허위 명함ㆍ직원증, 허위 고유 번호증까지 만들어 사칭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전북경찰은, 최근 구축된 도내 14개 시군 유관ㆍ협력단체와의 업무 네트워크 통해 노쇼 사기 범죄에 대해 적극 알리고, 또 지자체 소상공인연합회ㆍ외식업조합ㆍ이통장 등을 상대로 노쇼 피해사례 및 유형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 긴밀하게 공유할 계획이다.
또 지역경찰, 기동순찰대를 활용해 특정지역을 대상으로 방문 홍보, 전단지 배부 등 집중 예방을 실시한다.
노쇼 범인 검거를 위한 형사활동 강화와 함께 5천만원 이상 사기 피해 발생 시 전북경찰청이 해당 경찰서 사건을 이관받아 피싱 전담팀이 직접 수사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경찰의 적극적인 대민접촉 홍보를 통해 실제로, 지난달 28일 완주에서는 군부대에서 수박을 단체 구매한다며 특정물품을 대리구매 요청을 해 와 이를 거절하여 피해를 막았다.
이달 12일 순창복흥면의 한 식당업주는 단체예약 주문을 받고, 주문자 사무실에 전화를 다시 해보고 거짓 주문임을 알게 된 사례도 있었다.
김철문 청장은 “자영업자를 상대로 대리 구매, 대리 결제 요청은 단호하게 거절하고, 단체 주문이나 예약은 해당 사무실이나 단체에 반드시 재확인 해 달라”며 “갈수록 교묘해지고 대범해지는 사기 범죄 예방에 경찰이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대처해 더욱 안전한 전북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