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중기부 M&A 통한 ‘제3자 기업승계’ 성공

승계의 새로운 모델 부각..60세이상 CEO 비중 지난 10년간 2.4배 상승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청장 전세희, 이하 전북중기청)는 8일 최근 후계자가 없는 고령의 CEO가 M&A를 통해 제3자 기업승계에 연이어 성공했다고 밝혔다.

인구구조의 변화로 제조 중소기업의 60세 이상 CEO 비중이 지난 10년간 2.4배로 상승해 전체의 1/3(’12년 14.1% → ’22년 33.5%)에 달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약 40% 이상은 승계할 자녀가 없거나, 자녀의 승계 거부 또는 자녀의 역량 부족을 이유로 가업승계를 포기하고 있고, 그 대안으로 약 60% 이상이 전문경영인 영입, 매각 등을 고려할 만큼 제3자 기업승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중기부는 금년 1월부터 기술보증기금 내에 'M&A지원센터'를 설치해 일반 M&A 지원과 자녀승계가 어려운 고령의 대표들에게 M&A를 통한 제3자 기업승계를 돕고 있다. 동 센터는 △M&A 거래정보망 운영 △중개지원 △M&A 파트너스 네트워크 구축 △M&A 보증 △기술보호(TTRS) 등 원활한 제3자 기업승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달 기업승계형 M&A 2건을 성사시켰다. 해당 기업 모두 20년 이상 업력을 가진 중소기업으로서, 60세 이상의 고령 CEO가 경영하는 제조 중소기업이다.

중기부는 향후 고령화 추세 속에서 자녀승계가 곤란한 중소기업의 M&A 방식 기업승계 수요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M&A를 통한 기업승계 지원 인프라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정주 중소기업전략기획관은 “고령화 시대에서 원활한 기업승계 문제는 단순히 개별 기업 존폐 차원이 아니라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고용 안정에서 중요한 정책과제”며 “자녀승계가 곤란한 중소기업이 M&A를 통한 제3자 기업승계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특별법 제정과 지원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김은지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