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시 '공공녹지 보존 및 도시 난개발 차단' 도시공원 부지 매입

전주시가 시민 삶의 질 향상과 도시 녹지 기반을 지키기 위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매입에 나선다.

공공녹지 보존

시는 공공녹지를 보존하고 도시 난개발을 차단하기 위해 현재까지 총사업비 2706억 원을 투입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중 축구장 197개 면적에 해당하는 1.4㎢ 규모의 부지를 매입했다.

이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를 지키지 않으면 공원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상황 속에서 내린 결정이다.

따라서 시는 △덕진공원 0.668㎢ △효자묘지공원 0.165㎢ △인후공원 0.168㎢ △기린공원 0.063㎢ △산성공원 0.049㎢ △완산공원 0.056㎢ △다가공원 0.01㎢ △화산공원 0.064㎢ △천잠공원 0.034㎢ △황방산공원 0.122㎢ △삼천공원 0.001㎢ 등 도시공원 부지를 단계적으로 확보했다.

더불어 시는 부지 매입이 필요하지만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일부 사유지에 대해 지난달 토지수용재결 신청하고 현재 후속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관련해 시는 보상 지연으로 인한 실효 사태를 막아 도시공원 공공성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매입 부지 규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시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공원 기능을 지키기 위한 선택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현재 중앙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동부권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덕진공원) △덕진공원 대표관광지 육성사업(덕진공원) △완산권역 산불대응센터 신축(완산공원) △국립후백제 역사문화센터 건립(기린공원) 등으로, 시는 공모사업에 선정된 부지들을 중심으로 생활기반시설과 도시숲 조성, 문화체험 공간 등 시민 체감형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로써 시는 시민과 미래세대 위한 도시환경 자산을 지켜내는 중대한 전환점이자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중앙정부와 협력해 신규 공모사업을 발굴하고, 민간특례사업 등을 통해 재정 부담을 분산할 계획이다.

이영섭 전주시 자원순환녹지국장은 “지방채 발행에서 오는 재정적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도시공원을 지키는 이유는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이기 때문”이라며 “도시 품격과 환경을 다음 세대에 물려주기 위한 장기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