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시 대형 개발 연일 ‘잡음’…시민 신뢰 추락

종합경기장·대한방직 개발에 해체공사 감리, 이해충돌 의혹
드론축구협, 비자금 수사 착수
시의회 연수비 부풀리기 적발
대한방직 조감도
대전 세종 충남 이남에서 단군이래 최대 토목 건축사업이라는 전주 종합경기장, 대한방직 개발을 앞두고 벌써 잡음이 일고 있다.

종합경기장 해체공사 감리자 선정과정에서 의혹이 제기되는가하면 대한방직 부지개발은 아직 시공사도 선정되지 못했는데 고분양가 논란이 우선 제기되는 등 각종 우려의 목소리가 시민사회와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주시는 드론월드컵을 앞두고 관계기관이 수사당국의 압수수색을 받는 등 총체적 난국에 빠진 모양새며 전주시의회는 해외연수 비리 수사에 이어 이해충돌의혹이 불거졌다.

먼저 전주시의회에서 전주종합경기장 해체공사 감리자 선정 과정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다.

한승우 시의원은 지난달 23일 열린 전주시의회 제421회 임시회 3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전주종합경기장 해체공사 감리자 선정 과정에서 이해충돌 의혹을 제기했다.

한 의원은 “전주종합경기장 해체공사 감리를 맡은 업체의 대표는 S사 부사장으로 이해충돌 의혹이 제기됐고, 감리자 선정은 무작위 원칙이 아닌 담당자 임의로 진행하는 등 문제가 드러났다”며 “전주종합경기장 해체공사 감리용역은 지난해 7월 전주시가 해당 부사장이 대표로 있는 건축사사무소와 2020년부터 시행된 전주시 관내 해체공사 감리용역비 중 최고액인 2억 4천800여만원에 수의계약으로 용역을 체결했다”고 주장했다.

한 의원은 “건축물 해체공사의 감리 실적도 없고 공공건축물에 대한 해체계획서 작성 실적이 없는 신생 사무소가 어떻게 전주시 최대 규모의 건축물 해체공사 해체계획서를 작성하고, 해체공사의 감리자로 선정된 것인지 의혹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또 경찰은 대한드론축구협회 간부 비자금조성 의혹을 받고 있는 캠틱종합기술원, 대한드론축구협회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등 수사에 착수했다.

전북경찰청 형사기동대는 캠틱종합기술원과 대한드론축구협회를 업무상 횡령 등의 혐의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압수수색은 대한드론축구협회 관계자가 2022년 6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사업비 수 천만원을 본인 명의의 계좌에 은닉하는 등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문제는 조만간 드론축구월드컵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대형악재가 터진 것.

이와 함께 미국에서 열린 CES 박람회 등 수년 간 참가비용과 예산, 민간인 동행여부 등도 함께 진상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드론축구협회 협회장은 전주시장과 캠틱종합기술원장이 공동으로 맡아왔다.

시민 박모(53)씨는 “정말이지 요새 전라북도 뉴스를 보면 전국적 망신도 이런 망신이 없다”며 “전주에서 살기가 싫어져 타지역으로 이사를 가고싶은 심정이다”고 울분을 토했다.

전주시의회도 불미스러운 일이 연거푸 발생하고 있다.

국외연수 경비를 부풀린 시의회 직원들이 대거 경찰에 적발됐다. 전주완산경찰서는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전주시의회 사무국 직원들을 불구속 입건했다.

이들은 지난해 5~6월 진행됐던 전주시의회 해외연수 과정에서 경비를 부풀려 청구한 혐의를 받고 있는데 당시 의원들은 조를 나눠 미국과 유럽 등으로 국외연수를 다녀왔다.

경찰은 당시 연수에 참여했던 시의원들을 확대 조사하는한편 당시 동행한 다른 인원들에 대한 추가조사를 통해 여행경비 지급문제 등을 들여다 볼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진보당 전주시지역위원회는 지난달 31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시민의 피 같은 세금으로 개인 주머니를 채운 전윤미 시의원은 즉각 의원직에서 물러나야 하고 부당이득은 한 푼도 빠짐없이 환수해야 마땅하다"고 촉구했다.

전 의원은 지역 소상공인 예산을 자신의 업체 등에 몰아주기한 논란에 휩싸였는데 전주시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업체가 할인을 하면 할인액 만큼을 보전하는 사업과 관련해 전 의원과 가족 등이 운영하는 특정 미용실 4곳이 지원 예산의 상당부분을 가져갔다. 전윤미 의원은 지난달 28일 시의회 문화경제위원장 자리에서 사퇴했다.

진보당 지역위는 "자당 의원이 수천만원 특혜 의혹을 받고 있는데, 민주당은 왜 침묵하고 있느냐"며 "전 의원에 대한 즉각적 중징계에 나서고 지자체 예산을 받은 사례가 더 없는지 전수조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경찰이 수사하는 시의회의 국외연수 비용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 "시의회는 외유성 해외연수를 전면 폐지해야 하고 철저한 수사와 형사적 책임 또한 따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2월 국민권익위원회는 전국 지방의회 국외출장 실태점검 결과를 발표하며 문제가 드러났다.

/장정철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