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AIDT 격하로 교육계 혼란 속 전북교육청은 "담당자 부재"

전교조 전북지부 "교육자료화 법 개정 당연한 결과"
일선 학교 "지원 없으면 현장에선 사용할 방법 없어"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심혈을 기울인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지위가 격하된 가운데 교육 현장에서 혼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전북교육청 관련 담당자들은 부재중이었다.

지난 4일 국회 본회에서 AIDT를 교육자료로 변경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의결됐다. 통과된 법안에선 AIDT와 같은 '지능정보 기술을 활용한 학습지원 소프트웨어'는 교과서가 아닌 교육자료로 규정했으며 공포하면 즉시 시행된다.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교과서 활용 목적으로 지원되던 AIDT 예산을 학교에 지원할 수 없게 되자 일선 학교들은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AIDT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교원단체는 환영하는 입장을 밝히며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

AIDT를 활용하고 있는 교사 A씨는 "AIDT가 교육자료로 격하되면 예산 지원이 어려워지면서 구독료가 오르게 될 것으로 예상돼 현장에서는 활용할 방법이 없다"며 "올 한해만이라도 도입을 유지해 효과성 입증을 했다면 내년 도입에도 학생 및 학교의 선택권에 좋은 자료가 됐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4일 논평을 통해 "AIDT 교육자료화를 환영한다"며 "AIDT는 학생을 수동적 반복학습의 대상으로 전락시킬 수 있다. 이번 교육자료화 법개정은 당연한 결과"라고 밝혔다.

이러한 혼란 속 전북교육청 관련 담당자들은 주무관 1명을 제외하고 해외 연수와 휴가 등으로 부재 중이었다.

각 담당자별로 고유 업무를 가지고 있는 공무원 조직의 성격상 해당 공무원이 빠지는 시간 동안 업무 공백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전북교육청은 올해 1학기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전북 전체 760개 초중고교 가운데 AIDT 도입을 희망하는 240개 학교에 1인당 3만 7500원, 총 68억 원의 예산을 준비했다.

AIDT가 교육자료로 격하되고 교과서 활용 목적으로 지원을 할 수 없게 되면 1학기 구독료 18~19억 원을 제외한 나머지 차액은 불용 처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휴가 중이던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뒤늦게 본보 취재에 응답하며 "2학기에 활용을 예상했던 차액 예산에 대해 마땅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했다"며 "AIDT를 활용하는 학교에 예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최성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