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일 “전주시 덕진구에 들어설 ‘인공지능 신뢰성 혁신허브센터 구축사업’이 기획재정부 2026년 본예산 중 실시·설계 및 추진 기획예산으로 10억원이 최종 반영돼 정부예산안으로 반영됐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전하면서 “이번 반영으로 해당 사업은 본격적인 실행 단계로 진입하게 됐으며, 5년간 총 480억원 (국비 300억·지방비 180억)의 투자가 현실화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AI신뢰성 혁신 허브센터 구축‧운영’ 사업은 과기부 공모사업에 전국 6개지역이 지원했지만 전주시만 최종 통과해 전주시의 유일한 과제가 됐다.
전주 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TTA가 주관하는 전주시 첨단벤처단지에 480억 규모로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개년간 추진된다. 이미 과기부 공모사업 통과 당시부터 협의가 순조롭게 진행된 바 있고, 정 의원은 국회 과방위 예산소위원장 활동을 통해 예산 반영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낸 바 있다. 마침내 이번 기재부 협의가 조율돼 26년도 정부안에 해당 사업이 최종 반영되며 실질적인 사업 착수에 청신호가 켜진 것이다.
‘AI신뢰성 혁신 허브센터 구축‧운영’을 기반으로 책정된 이번 사업은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TAI, Trustworthy AI)’를 골자로 AI산업의 안전과 신뢰성 확보 생태계를 조성하는 허브센터다.
AI기술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EU와 미국 등 주요국들은 AI위험을 관리하고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법‧제도적 장치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 국회도 세계에서 두 번째로 (정동영의원이 대표발의한) ‘AI기본법’을 대안으로 통과시키며 AI의 진흥뿐 아니라 AI제품의 신뢰성을 구축하기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해왔다.
AI신뢰성센터가 전주 덕진구에 들어선다면 ▲ AI서비스 및 제품 보유 기업 대상의 신뢰성 향상 지원 ▲AI활용 아이디어 보유 기업 대상 지원 ▲ AI신뢰성 검‧인증 시설 및 장비구축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역특화 신뢰성 테스트 환경 등의 연구가 조성된다.
AI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문적 지원(컨설팅, 기술지원, 검·인증)은 품질 향상을 넘어 한국 기업의 생존,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관문이 될 전망이다. 전주의 큰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이번 AI신뢰성센터 구축사업은 총사업비 1조원 규모의 피지컬AI 실증 국가전략사업과 연계해 추진될 예정으로, 전주시 덕진구를 중심으로 한 AI기반 신뢰성 검증-실증-상용화 전全주기 체계가 완성될 전망이다.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기술적 기반과, 물리 환경 속 AI 기술을 실증하는 거점이 맞물리며, 전주는 명실상부한 AI실증도시이자 기술주권 거점도시로 자리잡게 된다.
정 의원은 22대 국회 시작부터 AI전략포럼을 열어왔고, 이후 더불어민주당 ‘AI강국위원회’를 맡아 국회와 민간, 학계를 연결하는 정책 간담회를 주관했고, AI 진흥 및 규제 균형에 관한 입법과제, 인재양성 방안, 데이터 주권 논의 등을 선도해왔다. 특히 22대 국회 등원 이후 AI 관련 조찬포럼을 격주간 한 번도 빠지지 않고 개최하여, 산업 전반에 AI 도입의 필요성과 대응전략을 공유했고, 이를 통해 AI 신뢰성정책 기반을 마련하려 노력해 왔다.
정 의원은 “AI기본법을 입법하고 ‘국가전략예산’에 대한 투자를 강조했던 성과”라며 “특히 지역균형발전에 집중하고 과방위에서 이뤄낸 쾌거”라고 환영했다. 정동영 의원은 또 “현재 AI발전만큼 개별기업단위 대응이 어려운 글로벌 규제 동향을 분석하고, 최신 신뢰성 기술 도입을 연구하는 거점이 전주에 들어오는 것은 AI혁신도시로 출발하기 위한 관문”이라고 평가했다. /서울=김영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