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전북지역본부 '2025년 7월 전북특별자치도 무역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7월 전북특별자치도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0.1% 감소한 5억 5,781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3.9% 감소한 4억 6,579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수지는 9,201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7월 전북 수출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전년 동월 대비 5.8% 증가한 608억 달러)에서 0.92% 비중을 차지하며 17개 광역지자체 중 13위를 기록했다.
5월 도내 수출기업 수(해당 월 수출실적이 발생한 기업 수)는 올해 들어 월별 최고치인 850개사를 기록했다.
7월 전북특별자치도 5대 수출 품목은 농약및의약품($6,178만, -5.1%), 동제품($4,365만, 75.7%), 자동차($4,105만, 13.6%), 합성수지($3,544만, -10.6%), 정밀화학원료($2,857만, 11.5%) 순을 기록했다.
동제품은 이차전지 소재인 동박 수요 증가 및 미 관세 부과 직전 수출 증가효과로, 자동차는 이라크·페루·칠레 등 예전에는 수출 물량이 많지 않던 시장으로 수출이 늘며 두 자릿수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권역별 수출은 아시아·북미·대양주로는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으며, 국가별로는 미국($11,104만, 27.7%), 중국($9,182만, 8.2%), 베트남($4,403만, 66.0%), 일본($3,358만, 4.4%), 태국($2,257만, 41.1%) 순이었다.
미국은 7월에도 전북의 수출상대국 1위를 기록했으며, 전북의 대미수출 총액은 기본 상호관세 10% 부과 시점이었던 4월부터 지속 하락세를 보였다.
7월 전북 대미수출 상위 10대 품목 비중이 전체 대미수출액의 67.5%를 차지했으며, 철강·알루미늄은 3월 관세 25% 발효 직후 수출이 급감하였고 6월에는 관세가 50%로 인상됐지만, 오히려 6-7월 수출이 늘었다.
박강표 한국무역협회 전북지역본부장은 “7월 수출실적은 미국의 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일시적으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7월 말 협상 타결에 이어 8월 양국 정부 간 후속 논의까지 반영된 후 9월 실적이 나와야 우리 수출에 대한 가시적인 영향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협회는 전북기업의 대미수출 지원을 위해 미주·유럽 언택트 마케팅 및 금융기관 협업을 통한 대미수출 피해기업 자금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 중”이라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