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공사협회 전북특별자치도회(회장 이재수)는 전력 수급 안정을 위해 필수적인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축사업에서 전북이 전남에 밀려 단 한 곳도 선정되지 못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전북의 참여를 강력히 촉구했다.
ESS 구축사업은 단순한 시설 투자를 넘어 전력 수급 안정화, 에너지 효율 최적화, 지역 내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국가 핵심 전략사업이다.
전북은 국내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새만금 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풍력·태양광·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 산업의 허브로 자리매김해 왔다. 이러한 기반에도 불구하고 전북이 ESS 구축사업 대상에서 제외된다면, 우리 도내 전기공사업계와 지역 산업 전반에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
전북의 전기공사업체들은 ESS 구축·설치·유지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백억원 규모의 수주 기회를 잃게 된다. 이는 단순한 금전적 손실을 넘어 기술 확보와 실적 축적의 기회 상실로 이어져 장기적으로 업계 경쟁력을 저하시킬 것이다.
또한, ESS 구축사업은 설계·시공·유지관리 등 전 과정에서 지역 인력과 협력업체 참여가 필수적인 고용 창출형 사업이다. 전북 배제는 도내 일자리 창출 기회 박탈과 동시에 유능한 인재가 타지역으로 유출되어 이미 침체된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가중시킬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 말했듯이 전북은 새만금 재생에너지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풍력·태양광 발전단지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ESS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으면 발전 효율과 안정성이 저하되며, 이는 국가 재생에너지 정책의 효율성에도 심각한 타격과 함께 전북 전기공사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지역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
이재수 회장은 “오래 이어지고 있는 건설 경기 침체의 여파로 전기공사 현장의 일감(공사 건수) 축소와 자재비 및 인건비 상승 등으로 심화되는 경영난을 겪고 있는 전북 전기 공사업체의 한 줄기 빛이 될 수 있도록 전북의 ESS 구축은 단순한 지역 이익을 넘어, 국가 재생에너지 정책의 성공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정부는 지역 균형과 국가 경쟁력을 위해 전북의 참여를 다시 한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정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