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혼란한 국제정세, 전북 '이차전지 한중 합작' 안갯속

美, 중국자본 비율 25% 이상 합작 기업 보조금 제외
대기업 불안에 이차전지 관련 중소기업 유치도 우려
새만금산업단지 등에 입주 예정이던 이차전지 관련 한중 합작투자 프로젝트가 불안한 국제 정세의 영향으로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미국의 중국 견제 강화와 IRA(인플레이션감축법) 시행으로 국내 기업들의 투자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는 것이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해 중국 화유코발트와 12천억원을 투입해 새만금에 전구체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SK·에코프로도 지난해 중국 GEM121백억원을 투자해 연간 5만톤 규모의 전구체 생산설비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미국은 IRA에 따라 중국 자본 비율이 25% 이상인 기업은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해 기업들의 사업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LG화학과 SK온은 새만금개발청에 이달 말까지 통보하기로 한 투자 계획이 미뤄졌다. 당초 내년 초에 예정된 협약 시기도 연장된 것으로 파악된다.
 
기업들 사이에서는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할지, 한중 합작으로 이어가야 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내에서는 사실상 투자 취소라는 설이 나돌고 있다.
중국 지분율을 25% 미만으로 낮추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지만 쉽사리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중국 기업들로서는 수익성 저하를 감수하면서까지 무리하게 사업을 강행할 명분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오는 11월에 치러지는 미국 대선이 새로운 악재로 떠올랐다. 중국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여부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시 IRA 지원이 축소 내지 폐지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산업연구원은 지난 12'미국 대선 향방에 따른 한국 산업 영향과 대응 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시 한국 이차전지 주요 기업의 사업계획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더라도 중국 견제가 지속될 전망이어서 원활한 투자 진행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처럼 해외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북의 이차전지 밸류체인 구축도 비상이다. 대기업 투자가 지연되면 중견·중소기업의 진출 역시 눈치를 볼 수밖에 없어서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투자협약을 진행할 수 없는 상황에 답답하지만 국제정세를 살피면서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 문제다"고 말했다.
 
/김관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