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자치도, 지능형 농생명 로봇산업 육성에 온 힘

산업부 제조로봇 공모 선정…지역협력 거버넌스 구축 포럼 개최

전북자치도가 첨단로봇을 활용한 제조업 및 농생명 산업의 지털 전환과 첨단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 로봇플래그쉽 공모와 첨단제조로봇 실증사업에 모두 선정돼 지능형 농생명 로봇산업을 집중 육성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도는 이들 공모사업에 선정됨으로써 국비 1324백만원을 포함한 총 2679백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는데 이를 통해 주력산업인 농생명 분야와 자동차 전후방 산업에 첨단로봇 기술을 접목해 제조업의 혁신과 공정 첨단화를 실현할 예정이다.
 
첨단 제조로봇 실증사업의 경우 '전북자치도 자동차 전후방 산업 제조로봇 실증을 통한 공정 첨단화'를 목표로, 제조 현장에 로봇을 도입, 제조혁신과 공정 첨단화를 이루고 이를 통해 지역 중심의 실수요 기반 제조업 로봇공정 모델의 확산을 추진한다.
 
로봇 플래그쉽 사업에서는 '전북자치도 농생명 전후방 분야 첨단 제조로봇 산업 육성'을 목표로, 지역 주력 산업과 연계한 정책·전략 수립, 시제품 제작, 기술 지원, 재직자 교육 및 훈련, 세미나 개최 등 전방위적인 지원이 이뤄진다.
 
이와 관련, 도와 캠틱종합기술원은 29일 전주 더메이호텔에서 도내 농생명 분야 로봇산업의 현안 해결을 위한 전북특별자치도 지능형 농생명 로봇산업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지역 주력 산업과 첨단 로봇 기술의 융합을 통해 특화 로봇산업을 육성하고 관련 정책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캠틱종합기술원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북테크노파크 등 도내 다양한 연구기관이 협력해 농생명 분야 기업의 제조 로봇 육성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박일우 산업혁신실장의 지능형 로봇 관련 정부 정책 동향을 발표했으며 농촌진흥청 이시영 스마트팜개발과장의 첨단농업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동향을 소개했다.
 
이어서 대동의 이광욱 플랫폼사업본부장과 LS엠트론의 유지훈 트랙터연구소장의 첨단 농작업 로봇 현장 적용에 대한 사례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도내 주력 산업인 농생명-바이오 분야와 첨단 로봇기술의 융합을 통해 특화 로봇산업을 육성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는 점과 각계 전문가와 다양한 기업체 종사자들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지역 협력 거버넌스가 구축되는 네트워크의 장이 되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최재길 도 이차전지탄소산업과장은 이번 정책 포럼을 계기로 지역 내 혁신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주력 산업과 융합한 농생명 특화 로봇산업을 육성한다면 지역 산업의 첨단화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준호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