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자치도 전국 유일 먹거리 숙의기구 설치 운영 모색

먹거리 숙의기구 토론회...전국 유일 민민 협치형

전북자치도는 4일 도의회 의원총회의실에서 지속 가능한 먹거리계획 실현을 위한 먹거리 숙의기구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국 유일의 민민 협치형 먹거리 숙의기구 설치와 운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북자치도는 도민의 먹거리 기본권 실현과 지역 먹거리 순환체계 확립을 목표로 202112먹거리 기본 조례를 제정한 이후 전북먹거리통합지원센터 설치, 민관 거버넌스인 먹거리위원회 출범, -시군 먹거리 상생발전 업무협약, 전북먹거리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먹거리 종합계획 수립(2024~2028) 등을 역점적으로 추진해 왔다. 현재는 조례에 담긴 21개 조항 중 숙의기구 설치 과제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도민으로 구성된 민민 협치기구인 먹거리 숙의기구의 연내 출범을 앞두고 그 구성 및 운영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국주영은, 오은미 도의회 의원, 유정기 부교육감 등 주요 인사들과 전북도민, 관계 공무원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황영모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먹거리 정책 숙의기구의 의미와 지역사회 준비과제'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전북 먹거리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숙의기구의 역할과 기능, 도민 참여 확대 방안을 설명했다.
 
이어 김흥주 원광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에서 숙의기구가 단순한 정책 제안을 넘어 정책 실행 과정에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은미 의원은 전북자치도의 먹거리 정책 성공을 위해서는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수반돼야 하고 숙의기구 활성화를 위해 구체적인 운영 방안과 먹거리정책 책임관 제도의 활용 방안을 제안했다.
 
최재용 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전국 최초로 광역단위 먹거리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먹거리위원회를 출범시켰다면서 이러한 체계가 도민의 먹거리 기본권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전북도가 전국 유일의 민간 주도 먹거리 숙의기구출범을 준비하는 만큼 전국적인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도민의 먹거리 기본권을 보장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먹거리 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준호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