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 ‘왕의궁원’ 프로젝트 실행력 높인다!

시, 국내 최고 수준 전문가 초청 프로젝트 완성도 향상 및 사업체계 정립 모색 -

전주시 ‘왕의궁원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댄다.

전주 ‘왕의궁원 프로젝트’는 후백제에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화유산을 한데 엮어 미래 관광자원으로 육성하고자는 목적을 담고 있다.

따라서 시는 전주시에너지센터 4층 회의실을 이용한 ‘왕의궁원 프로젝트 전문가 릴레이 포럼’을 오는 19.26일 11월 3일 총 3회에 거쳐 개최할 방침이다.

이번 포럼은 민선 8기 핵심사업인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추진계획을 고도화하기 위해 매주 전문가를 초청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시는 이번 포럼을 바탕으로(31개 세부 사업) 구성된 왕의궁원 프로젝트(31개 세부 사업)의 추진 방향과 발전 방법을 모색하고,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높이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또 릴레이 포럼은 매주 ‘왕의궁원’ 프로젝트 인식과 추진 논리, 정부 정책과 ‘왕의궁원’ 연계전략 및 국책사업화 방안, ‘왕의궁원’ 프로젝트와 전주 도시발전 및 미래발전 방향' 등의 주제 회의로 진행될 예정이다.

먼저 오는 19일 1차 포럼은 왕의궁원 프로젝트에 대한 전주시민들의 이해를 돕고, 프로젝트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한 핵심 논리 구축과 스토리 개발을 주목적으로 진행된다.

이날 포럼은 (사)한국지역개발연구원의 이주열(‘왕의궁원’ 프로젝트 기본구상용역 수행) 공공정책연구소장이 기조 발제를 맡는다.

이어 원도연 원광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박정민 전북대 사학과 교수, 박경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성진 원광대 도시공학과 교수, 하원호 기자(JTV) 패널 참여 토론'을 통해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역사적 기반과 당위성, 국책 관광개발 프로젝트의 사례와 기본논리, 역사도시 개발사업의 유럽 등 해외 사례와 시사점, ‘왕의 궁원’ 프로젝트에 대한 시민적 인식과 문제점' 등이 발표된다.

오는 26일 2차 포럼에서는 ‘국토부, 문체부 등의 정부 부처 사업과 연계 및 국책사업화 방안’을 주제로 금기형 전 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 이순자 전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성화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교수, 박기홍 기자(프레시안 전북본부 국장)의 발표가 예정돼 있다.

끝으로 11월 3일 3차 포럼에서는 ‘왕의궁원 프로젝트와 전주 도시발전 및 개발사업과 연계 및 전망’을 주제로 '김영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 박철희 충남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천의영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종휴 기자(전주MBC 국장)'가 발표한다.

전주시는 이번 포럼을 통해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세부사업의 집중 검토와 대안을 제시해 프로젝트 추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서배원 전주시 왕의궁원프로젝트추진단장은 “이번 릴레이 포럼을 통해 용역자료를 기반으로 한 ‘왕의궁원’ 프로젝트에 전문가들의 의견이 촘촘히 반영돼 더욱 전문성을 가지게 될 것”이라며 “장기적인 사업인 만큼 치밀하고 정밀한 계획과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 이 프로젝트가 전주에 대한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더 나은 전주를 앞당길 미래 발전계획이 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