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 제6회 ‘1593 전주별시’ 재현행사 개최

시, 오는 11.11일 과거시험 및 국악공연, 방방례, 급제자 유가행렬, 사은숙배 진행
전주 ‘전주별시(別試)’가 전주한옥마을에서 재현된다.

전주시는 오는 11월 11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주전통문화연수원, 청연루, 경기전' 등에서 제6회 ‘1593 전주별시’ 재현행사 개최 계획을 지난 20일 밝혔다.

‘전주별시(別試)’란 임진왜란 당시 임금 선조가 세자(광해군)를 전주로 보내며 나라를 구할 인재를 뽑기 위해 치러졌던 과거시험을 말한다.  

‘1593 전주별시’ 재현 과거시험에는 '한시백일장(동시·시조, 한시), 국궁, 전통무예 시연, 방방례(放榜禮), 국악 공연, 사물놀이, 급제자 유가행렬(遊街行列) 및 사은숙배(謝恩肅拜)' 등의 짜임새 있는 구성을 갖췄다. 

이날 참가자는 청소년부와 성인부로 나눠 진행되고 먼저 청소년부는 '국궁, 한글 글짓기(동시)' 과목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여기에 성인부의 시조와 한시 지상백일장이 치러진다.

국궁은 궁도교육 이수자라면 전국 청소년 누구나 참여 가능하고 이날 '개인전(초등 저학년부, 초등 고학년부, 중등부), 단체전(초·중등 혼합팀)'으로 실시된다.

한시는 지상(紙上) 백일장 방식의 시제는 ‘풍패지향전주(沛之鄕全州)’이고, 압운은 진(眞), 춘(春,) 신(新,) 륜(倫), 신(伸)이다. 

‘전주별시(別試)’에 참여를 희망하는 자는 전주전통문화연수원 누리집(www.dongheon.o.kr)에서 칠언율시(七言律詩) 형식의 원고를 내려받아 작성해 오는 25일까지 등기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과거시험 종료 후 과거급제자에 대한 시상식인 방방례(放榜禮)가 진행되며, 시장상과 어사화가 수여된다.

과거급제자들은 어사화를 머리에 꽂고 ‘유가행렬(遊街行列)’을 전주전통문화연수원부터 은행로, 태조로, 경기전까지 취타대와 (사)전통문화마을의 기수대 및 한옥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풍물패 등이 함께 행렬에 가담해 이동한다.

끝으로 경기전에 도착하면 왕(태조어진)에게 과거 급제를 알리며 감사 인사를 전하는 ‘사은숙배(謝恩肅拜)’ 하고 마무리한다.

김성수 전주시 한옥마을사업소장은 “올해 별시는 급제자에게 시상금 지급과 각 과목 장원급제자 가족을 초청해 1박 2일 고즈넉한 전주한옥마을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장원급제자 가족 힐링캠프’가 제공될 예정이다. 우리 문화에 관심 있는 전국 모든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