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 민선8기 핵심사업 왕의궁원 프로젝트 ‘전주다움 살아 숨 쉬는 독창적인 콘텐츠 발굴해야’

프로젝트 명분과 현실적인 부분에서 균형 위한 구상도를 통해 도시공간 완성도 검토돼야
성공전략 위한 주요 거점에 대한 구조화된 통계 확보, 수요자 아닌 방문객 니즈 파악 제안

전주시 민선8기 핵심사업 '왕의궁원 프로젝트 2차 전문가 릴레이 포럼’이 전주시에너지센터 회의실에서 26일 진행됐다. 

이번 포럼은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정책과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연계전략’ 주제로 마련됐다.

또 ‘왕의궁원’ 프로젝트 기본구상 31개 세부 사업에 대한 전문가 의견과 '공간적 배경, 콘셉트, 추진전략, 계획과제' 등에 대한 설명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된 2번째 시간이기도 하다.

이날 원도연 원광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금기형 前 사무총장, 이순자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장성화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기홍 프레시안 기자가 토론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금 前 사무총장은 여기서 "수요자 입장에서 방문객 요구를 파악하고, 전주다움이 살아 숨 쉬는 독창적인 콘텐츠 발굴이 필요한 시기라 주장하며, ‘역사문화권정비법’에 후백제문화권이 명시적으로 포함된 만큼 ‘왕의궁원 프로젝트’가 국가사업 성장 외적 토대가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도시 공간의 세부 콘텐츠와 발전전략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주요 거점에 대한 이용객/방문객에 대한 통계수치가 확보됐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이순자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당위성 확보 차원에서 프로젝트의 명칭과 왕의궁원의 시대적 배경이 어느 시대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추진력을 담보하기 위해 많은 사업을 담아내기보다 ‘하나의 주제’를 관통하는 사업 트리를 작성하고, 핵심사업을 설정함으로써 무엇이 중요한 사업인지를 고민해 궁극적으로는 구현하고자 하는 그림이 무엇인지 분명히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장성화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왕의궁원 프로젝트를 국가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선공약 수준에서 접근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라북도 차원에서도 전주시 단독으로 추진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기에는 명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궁·숲·정원 각각의 구역이 가진 여건과 사업의 특성에 따라 별도의 예산확보 및 민자유치 활동을 진행하고 이를 왕의궁원 프로젝트에서 품는 구조로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박기홍 프레시안 기자는 “지난 전통문화도시 선정과 관련한 다양한 성공전략을 벤치마킹하는 게 우선시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시민의 공감대를 기반으로 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업의 비전을 표방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최를 통해 전주시민들의 관심을 이끌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전주시는 오는 11월 3일 ‘왕의궁원과 전주의 미래발전 방안’을 주제로 릴레이 포럼을 이어갈 계획이다.

서배원 전주시 왕의궁원프로젝트추진단장은 “왕의궁원 프로젝트와 연계한 도시발전 전략과 전통문화도시 조성사업 이후 이를 연계한 정부의 정책방향, 핵심사업과 공간의 구성, 마케팅 측면에서 성공전략 등에 대한 전문가의 심도 있는 의견을 청취했다. 왕의궁원 프로젝트가 전주의 새로운 도시발전의 축이 되어 성공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