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시 왕의궁원 프로젝트 "미래발전…국가사업 추진 보완 절실"

시, ‘왕의궁원과 전주의 미래발전 방향’ 주제 '역성·선도성·거점성' 확보 필요

우범기 전주시장 대표공약인 ‘왕의궁원’ 프로젝트가 옛 전주 문화를 넘어 미래지향 신산업에까지 확장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왕의궁원 프로젝트 3차 전문가 릴레이 포럼’이 3일 전주시사회혁신센터 2층 회의실에서 열렸다.

3차 ‘왕의궁원’ 릴레이 포럼은 마지막 포럼으로 ‘왕의궁원과 전주의 미래발전 방향’ 주제로 진행됐다.

포럼은 원도연 원광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김영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위원, 박철희 충남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천의영 경기대 건축과 교수, 이종휴 전주MBC 기자가 토론자로 참여해 토론방식으로 펼쳐졌다.

이 자리에서 김영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위원은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국가사업 추진 논리 및 콘텐츠 보완’ 주제를 발표하며 “왕의궁원 프로젝트는 '광역성, 선도성, 거점성'을 갖춰야  국가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특히 국책사업 추진에 대한 또렷한 목적 검토와 함께 사업구조화가 이뤄져야 한다. 초광역권 사업이 목적이라면 국가적 차원의 당위성과 전주와 주변 지역 간 협력적 관점에서 사업 내용이 제시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개별 사업에 대한 필요성과 시급성이 집중적으로 검토돼야 하며, 타당성과 의견수렴에 대한 주체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철희 수석연구위원은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광역개발 연계발전방향’ 주제 발표에 따른 “고대 문화자원 바탕으로 전주 단독 추진 방식은 성공하기 어렵다. 타 유사지역과 차별화를 두고 전주 후백제문화만의 콘텐츠 개발전략이 동반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박 연구위원은 “왕의궁원 프로젝트는 핵심사업 우선순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의 접근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왕의궁원 프로젝트 도시공간 구상과 발전방향’ 주제에서 천의영 경기대 교수는 “도시 공간구성의 측면에서 후백제 역사문화권의 역사성에만 초점을 두고 논산, 완주, 진안군, 문경시, 상주시 등과 연계하거나, 국가 고도의 보존, 복원만으로는 한계가 보인다. 전주시 미래 발전방향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천 교수는 “전주시 미래 변환과 발전 핵심은 KTX역사가 있는 익산과 함께 광역대 도시의 전주권 메가리전이 형성되도록 도시교통기반을 구축하고, 창의적인 문화콘텐츠와 광역 생활권 연결에 대한 미래발전 전략이 중요하다. 전주시가 스위스 바젤의 도시적·공간적·사회적 포용력을 벤치마킹했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

이종휴 전주 MBC 국장의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시민참여전략’ 주제 발표와 함께 “시민들의 자부심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조선인지 후백제인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맥락을 시민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특히 후백제 왕도였다는 증명을 위해 발굴된 유적에 대해 공개가 필요하고, 지속적인 홍보와 후백제 관련한 축제 기획 및 다큐멘터리 제작, 조형물 상징물 제작 등 시민에 대한 이미지 각인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서배원 전주시 왕의궁원프로젝트추진단장은 “왕의궁원 프로젝트의 국가사업 추진 논리 및 콘텐츠 보완, 광역개발 연계 발전 방향, 도시공간 구상과 발전 방향, 시민참여전략 등 프로젝트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다각적 검토를 할 수 있었다. 그간 종합된 최종 결과물을 왕의궁원 프로젝트에 반영해 한층 효과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