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 야호교육통합지원센터(센터장 안성균)는 인천, 전남 곡성, 충북 괴산 등 전국 교육중간지원조직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지역교육활성화포럼’을 지난달 31일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교육중간지원조직 역할과 과제’ 주제로 열렸으며 이날 전국 각지에서 운영 중인 교육중간지원조직의 소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소통이 마련됐다.
인천 김태정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전문관은 마을교육공동체지원센터 사례를 발표하며 “교육은 교육청만의 영역이 아닌, 지자체와 지역사회가 함께 해야 하는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인천 마을교육공동체지원센터는 교육청 협력을 바탕으로 '민·관·학 거버넌스와 마을 연계 교육과정, 미래교육지구 사업 등의 교육혁신지구사업 분야, 학습공동체 지원과 활동가 양성, 교육협동조합지원사업 등의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신정하 곡성군미래교육재단 본부장은 곡성군미래교육재단 사례를 소개하며 “여러 교육주체들과의 벽이 없는 소통을 통해 민간 영역 교육주체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에 큰 의의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곡성군은 지역소멸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 정책에 주목했으며, 지난 2018년 교육지원청과 교육 협력 MOU를 체결해 지자체와 교육청 간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기반으로 마을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 읍면마을교육협의회 등의 활동을 지원하고, 마을교육과정 운영과 마을강사 양성, 기초학습 지원, 곡성형 참의교육 꿈놀자학교 운영, 청소년 진로 활동, 평생교육 등 다양한 교육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엄진희 괴산마을교육공동체지원센터 사무국장은 인구 소멸 위기에 대응한 공교육 혁신과 정주 의식 확산을 위해 행정, 교육지원청, 학부모 단체 등이 협력해 괴산마을교육공동체지원센터를 설립하고 현재 민간위탁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안성균 야호교육통합지원센터장은 “교육중간지원조직은 지역 교육 공동체를 확대하고 지속가능한 전주 교육력을 키우는 데 필수적인 플랫폼 조직”이라며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결하고 교육 주체들과 소통·협력하며 교육희망도시의 밑그림을 그려가겠다”고 말했다.
/김영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