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주시 지방소멸 위기에 따른 ‘2023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심포지엄’ 개최

지방소멸은 '국가, 지역사회' 큰 숙제, 폐·유휴공간 자원 활용 대책

‘2023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심포지엄’이 7일 전주시 팔복예술공장 이팝나무홀에서 개최했다.

전주시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국가 차원의 해법을 찾기 위해 ‘지방소멸 대응 폐·유휴공간 재생’ 주제 심포지엄이 마련됐다.

이날 권영걸 위원장(제7기 대통령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과 민·관 전문가 및 지역주민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소멸 대응 공간적 해법을 논의하고 이에 따른 정책 발굴 자리로 이어졌다. 또 도시 건축과 도시 해법 모색의 시간도 함께 가졌다.

이번 심포지엄은 군산대학교와 전라북도건축사회가 주관하고, 국토교통부·전라북도·전라북도교육청·전주시가 후원으로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먼저 팔복예술공장과 완주군 삼례문화예술촌 등 성공적인 폐·유휴공간 재생 사례를 돌아보며 공간정책의 실효성을 확인했다.

이어 2부는 김규린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사회로 진행된 심포지엄은 차미숙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공간정책’과 황순우 바인건축사사무소 소장(전 팔복예술공장 총괄감독)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공공건축과 지역활성화’ 주제가 각각 발표됐다.  

이후 박성신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군산대학교 교수)을 좌장으로 유선희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 과장, 채홍준 교육부 지방교육재정 과장, 오병록 전북연구원 연구위원, 최선자 전북교육청 과장, 김헌 일상건축사사무소 대표, 최병관 공주대학교 교수 등의 분야별 전문가 참여 패널토의가 진행됐다.

이 자리를 통해 각 패널들은 빈집과 폐산업시설의 현황과 도시재생사업으로 탄생한 공공공간에 대해 설명하고, 인구감소 문제를 고스란히 겪는 있는 폐교 대상 논의가 뒤따랐다.

논의 후 패널들은 또 지방소멸에 맞선 공간정책 실현 방안으로 '폐·유휴공간 지역자산으로 인식, 각종 재생사업의 통합적 시행, 주민 의견 수렴을 통한 지역정체성을 담은 공공공간 조성 및 정책 기반 마련' 등을 제시했다.

권영걸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은 “지방소멸은 국가와 지역사회 큰 과제로 다가오며,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 폐·유휴공간 창조적 자원 활용이 매우 중요한 시기다”고 밝혔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실효성 있는 공공 공간정책이 제시된 만큼 지역발전과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발판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전주시의 단순한 공간 재생을 넘어 지역 상권 회복과 자생적 성장이 동반되는 전주형 도시재생 정책 추진으로 지방소멸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영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