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임신-출산 지원 시책 대폭 확대 추진
전북자치도가 출산율 저하와 만혼 등 고령산모, 난임 부부가 늘어나는 추세에 대응해 임신 전 주기에 걸친 다양한 정책을 내놓는다. 도는 적극적인 임신 준비와 임신・출산을 희망하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고자 ‘임신・출산 지원사업’을 대폭 확대한다고 18일 밝혔다. 도는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사업으로 임신준비-임신-출산・산후 각 단계별 지원사업을 2025~2027년까지 연차별로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지난 2023년 수립한 ‘임신·출산 지원시책 확대계획’(신규시책 21건 도입)을 필두로 올해부터 ▲난임시술비 지원 소득기준 폐지 ▲난임 진단검사비 지원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공공산후조리원(2개소) 건립 등을 추진해 오고 있다. 또한 올해 ▲타 시도 벤치마킹 ▲도내 시군 사업조사 ▲산후조리원 실태조사 ▲언론․동향 등을 통한 우수사례를 조사해 수요도가 높은 15개 사업을 발굴, 내년부터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도는 특히, 중점 사업으로 ‘모아(母兒)건강복합센터’를 건립해 임신에서 출산, 보육까지 단계별 종합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에 시·군 수요조사를 통해 지역의 의료기관·보육시설 등 연계자원 및 사업계획을 마련하고, 행안부 주관의 결혼-출산-보육 통합지원센터 조성 공모사업에 대응해 국비 50억원 규모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도내 부족한 산후조리원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2023년부터 공공산후조리원 2개소를 정읍·남원에 건립하고 있으며 남원 공공산후조리원은 내년 상반기부터 운영될 예정이다. 민간산후조리원도 공공형 지정제도를 도입해 노후시설 개보수 및 프로그램 활성화 운영비 등을 지원한다. 강영석 도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임신․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연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