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4·19·동학농민혁명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됐다

한국 보유 세계기록유산 18건으로 늘어
 
학생 주도의 민주화 운동인 4·19혁명과 조선 백성이 일어난 동학농민혁명과 관련한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한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이 됐다.
 
유네스코는 지난 18(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집행이사회에서 한국이 신청한 '4·19혁명 기록물''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최종 승인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 측은 앞서 두 기록물에 대해 등재를 권고한 바 있다.
 
우리 문화유산이 세계기록유산 대표목록에 이름을 올리는 건 2017년 등재된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국채보상운동 기록물'·'조선통신사 기록물' 이후 약 6년 만이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4·19혁명 기록물은 1960년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학생 주도의 민주화 운동과 관련한 자료 119점을 모은 것이다.
 
혁명의 원인과 전개 과정, 혁명 직후의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유산으로 국가기관과 국회·정당의 자료, 언론 기사, 개인의 기록, 수습조사서, 사진과 영상 등으로 구성된다. 4·19혁명 기록물은 독재에 맞서 비폭력으로 민주주의를 이룬 역사적 기록으로서 의미가 있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한국 사회의 근대적 전환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185점으로 이뤄진 기록물은 18941895년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당시 조선 정부와 동학농민군, 농민군의 진압에 참여한 민간인, 일본공사관 등이 생산한 자료들이다.
 
등재 신청 심사 당시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조선 백성이 주체가 돼 자유·평등·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했던 '기억의 저장소'로서 세계사적 중요성을 널리 인정받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기록물이다""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를 넘어 전 세계 인류가 배우고 기억해야 하는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에 2건의 기록물이 모두 등재되면서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은 총 18건으로 늘었다.
 
/유연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