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스마트팜학과가 다수의 정부 연구과제 수주를 통해 작물 모델링과 위성영상 기술을 활용, 새 기후체계에 따른 농업 부문 생산 환경 변동 예측 및 평가 연구에 나선다.

지난 달 28일 전북대 스마트팜학과에 따르면 김태곤 교수(사진)팀이 한경대, 강원대 등과 컨소시엄으로 농촌진흥청 ‘新농업기후변화대응체계 구축 사업’ 중 ‘기후 및 작부체계 변화에 따른 농경지 양분유출, 농업용수 수질영향·취약성평가 및 적응기술 개발’ 연구 과제에 선정됐다.
또한 김 교수팀은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류영렬 교수팀과 함께 원격탐사 컨소시엄을 이뤄‘원격탐사와 작물모형을 활용한 전지구 주요 곡물지역 작황 추정 기술 고도화 및 정보 제공 체계 구축’연구 과제도 수주했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과제는 2027년까지 4년간 총 45억8천700만 원을 지원받아 기후변화에 따른 농경지 양분유출 변화 및 취약성 평가, 국외 식량작물의 재배면적 및 작황 조기탐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과정기반 모형 활용, 농경지 양분유출 및 농업용수 수질 평가기술 개발, ▲전국단위 양분유출 및 농업용수 수질 영향·취약성 평가를 위한 AI 기반 메타모델링 기술 개발, ▲농경지 양분유출·농업용수 수질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및 적응기술 동적 시각화 시스템 개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연계한 농경지 토지이용 및 작부체계 정보 시스템 개발, ▲원격탐사 기반 전지구 주요 곡물 재배면적 및 생산성 추정 기술 고도화, ▲고해상도 위성영상 활용 작황 추정 평가기술 개발, ▲주요 곡물 생산지역에 대한 작황 정보 표출 시스템 설계 및 시범 체계 구축 등의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김태곤 전북대 스마트팜학과장은 “이번 선정 과제는 노지_스마트팜의 주요한 연구주제로, 우리학과의 우수한 연구역량의 성취이며, 과제 수행을 통해 미래인재 육성과 신기후변화 대응 기술력 확보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