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대, 범지역 협력으로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 성공

대학-지자체-연구소-기업-정치권까지 범지역적 협력 ‘성과’
건립비, 장비비 등 444억+지방비, 자체 158억 총 600억 규모
차세대 반도체 패터닝 초격차 기술선도 할 인재양성 ‘비전’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가 유치에 사활을 걸었던 반도체공동연구소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교육부는 서울대 반도체 공동연구소를 중심 대학으로 삼아 비수도권 지역에 권역별 연구소를 지정해 공유 체계 마련을 목표로 올해 반도체공동연구소를 공모한 결과 전북대와 강원대 등 두 곳을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공모에는 전북대와 충북대, 강원대 등 3개 대학이 최근까지 치열한 유치 경쟁을 펼쳐왔다. 

선정의 영예를 안은 전북대는 올해 전북특별자치도와 전주시, 완주군 등 지자체와 자동차융합기술원, KFE(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반도체 장비 진흥화연구단, KIST 전북분원 등 유관 연구기관, 그리고 동우화인캠, 한솔케미컬 등 지역 반도체 기업 등 범지역적으로 굳건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유치에 도전해왔다.
 
이번 반도체공동연구소 유치를 통해 전북대는 공동연구소 건립비 164억과 장비비 280억 원 등 모두 444억 원을 지원받는다. 전북특별자치도 63억 원, 전주시 30억 원, 완주군 15억 원, 전북대 자체 투입 50억 원 등 158억 원의 대응자금 등 총 602억 원을 확보해 안정적 교육·연구 프로그램 운영, 핵심장비 도입, 사업 종료 후 자립화 운영 계획 수립까지 원활하게 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전북대는 반도체 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전주기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고, 개방형 반도체공동연구소 운영을 통해 산학연 연계를 기반으로 한 실무형 교육 인프라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선정된 387억 원 규모의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과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첨단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세부 분야인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이하 반도체소부장)’, 30여년 동안 화합물 반도체 특화 대학연구소로 자리매김한 반도체물성연구소, 호남지역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는 화합물 반도체팹, 그리고 지난해 선정된 글로컬대학30 사업 등과 연계해 사업 수행의 시너지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양오봉 총장은 “반도체공동연구소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우범기 전주시장, 유희태 완주군수와 전북대가 관학협력의 힘으로 유치한 사례로, 지역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최고의 인재양성이 가능하게 됐다”라며 “특별히 이번 사업 유치를 위해 국회에서 적극적인 노력을 해주신 정동영 의원과 전북 국회의원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대학의 우수 인프라를 잘 활용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반도체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성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