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형 늘봄학교, 모든 초등학교 1학년 대상 전면 시행

2학기 늘봄학교 전면 시행 위한 프로그램, 공간, 인력 준비 마쳐
415개교 초 1학년 1만479명 참여 희망…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서거석 교육감)은 2학기부터 도내 415개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전북형 늘봄학교’를 전면 시행한다고 28일 밝혔다.

늘봄학교는 기존의 초등학교 ‘방과후’와 ‘돌봄’을 통합한 개념으로, 정규수업 외에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해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제공하는 종합 교육프로그램이다.

특히 학교안과 학교밖 모두를 따뜻한 늘봄의 장(場)으로 확대해 늘봄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모두 함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게 전북형 늘봄학교의 특징이다. 전북형 늘봄은 기본적으로 학교 안에서 최대 오후 6시까지, 학교밖에서 최대 오후 8시까지 운영하게 된다.

희망하는 초1 학생은 누구나 늘봄학교에 참여할 수 있다. 학교별 수요조사 결과 초1 학생 1만1,178명 중 1만479명(93.7%)이 늘봄학교 참여를 희망했다.

학교별 수요에 맞춰 프로그램이나 공간 등을 최대한 확보해 희망 학생 모두를 수용할 수 있고, 학생들은 매일 2시간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지원받는다.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공간을 위해 학교안 전용교실과 겸용 교실은 물론이고 지자체나 지역사회 협조를 통한 학교밖 공간 확보에도 공을 들였다.

학교안 늘봄학교 전용교실은 1,136개이며, 특별실 및 일반학급 교실 겸용은 1,874개다. 여기에 더해 242개의 학교밖 공간을 확보하는 등 총 3,240개의 늘봄 서비스 공간을 확보했다.

늘봄 전담인력도 배치했다. 7월 1일자로 300명의 늘봄실무사를 채용한 후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해 1교 1명 또는 순회 배치했고, 안정적 업무 추진을 위해 업무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

서거석 교육감은 “전북의 늘봄학교 만족도가 90% 이상으로 학부모들의 호응과 기대가 크다”면서 “늘봄학교 서비스 제공을 통해 돌봄 공백, 경력 단절, 사교육비 증가 등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성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