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원광대 글로컬30 선정…전북 교육협치 ‘순항 중’

RIS+RISE+글로컬30+교육발전특구 등 빅4 사업 협업체계 완성
통합원광대가 이번 정부의 글로컬30사업에 선정되면서 전북자치도가 그동안 주력해 온 교육협치가 날개를 달게 됐다.
지난해 전북대에 이어 통합원광대의 글로컬30사업 선정으로 앞서 진행된 RIS(지역혁신사업),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교육발전특구의 연계성과 함께 상호 시너지가 크게 기대된다.
 
특히, 대학 등 교육 전주기에 걸쳐 도-시군-교육청-대학-산업체 간 협력 강화의 토대가 마련됨에 따라 이를 활용해 지역산업과 연계된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 창업-정주로 이어지는 지역발전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데 탄력을 얻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교육부 공모 사업에서 도가 잇따른 성과를 가둔 데는 정부 정책 기조에 대한 기민한 대응이 주효했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초기부터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를 내세우며 교육 분야의 핵심 키워드로 지자체의 주도성강조했다. 기존 정부주도 정책의 한계를 지역의 힘으로 극복해 보자는 취지였다.
 
이 같은 패러다임 전환에 도는 빠르게 대응했다. 22년 도지사 취임 후 곧장 -교육청-대학 간 교육협력 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같은 해 10월 이뤄진 도 조직개편에서는 교육전담부서인 교육협력추진단을 신설했다.
 
특히 지자체와 대학 간 협력 강화에 집중했다. ‘전라북도 대학상생발전협의회를 구성하고 도지사와 총장, 도 국장과 대학기획처장, 교육협력추진단장실무협의체 등 3단 구조의 협력체계를 운영하도록 했다. 교육부 최대 재정지원사업으로 5년간 15백억 원을 지원하는 RIS에 전북은 20년과 22년 두 번의 고배를 마셨고 21년에는 공모 신청조차도 하지 못한 아픈 경험이 있었다.
 
도는 교육발전특구 지정에도 성공했는데 이는 지자체교육청기업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유아부터 고등교육까지 교육을 기반으로 지역을 혁신하자는 취지로 교육부가 추진하는 공모사업이다. 글로컬대학30’은 비수도권 대학 30곳에 5년 동안 대학당 1천여억원(통합형은 1500)을 지원해 지역 우수 인재 누구나 가고 싶어하는 경쟁력 있는 지역대학을 육성하는 사업이다. 도는 앞으로 사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재정 지원에도 나설 방침이다. 전북대와 원광대에 각각 500억 원, 750억 원의 도비를 5년간 지원해 청년이 오고 싶은 대학, 머물고 싶은 전북을 만드는 마중물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교육을 통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자는 도민의 의지가 모인 결과라며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전북이 앞장서서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은 만큼 교육혁신과 교육협치의 새로운 지평을 전북이 열어보겠다고 말했다.
 
/유연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