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동차법에 따라 전기차 전용 충전시설을 갖춰야 하는 도내 국립대학에서 전기차 화재 대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정을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립대학교 전기차 충전소 시설 설치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내 3개 국립대학교 23곳의 전기차 충전소 중 소화 장비가 배치된 곳은 1곳(4.3%) 뿐이다.
특히 전기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배터리 화재용 소화기와 질식 소화포 등 소화 장비를 배치한 대학은 없고, 전북대만 옥내 충전소 1곳에 일반 분말 소화기를 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화재에 가장 취약한 옥내에 전기차 충전기가 배치된 전북대는 냉각 효과가 없는 일반 분말기 소화기만 배치하고 전용 소화 장비는 배치하지 않았고, 옥외에 전기차 충전기가 배치된 전주교대와 군산대는 배터리 화재에 전혀 대비하지 않고 있다.
한편 최근 5년간 국립대학 화재 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 17건에서 2023년 27건으로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고 올해는 8월 말 기준 25건으로 확인됐다.
화재 사고 가운데, 전기차 관련 사고는 1건이었으며, 2023년 8월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에서 전기자동차 배터리 케이스 개봉 중 화재가 발생해 1명이 경미한 찰과상을 입었고 1,869만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을호 의원은 "전기차 화재는 일반 화재와 달리 초기 진화가 어려운 만큼, 충전소에 소화 장비를 반드시 갖춰야 한다"며 "특히 화재에 취약한 옥내 충전소는 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 장비를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생과 교직원의 안전을 위해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 대응 체계를 철저히 점검하고, 전용 소화 장비를 배치하도록 하는 제도개선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북대 안전보건관리부 관계자는 "분말 소화기는 냉각 효과가 없는 탓에 전기차 화재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아 화재감지 센서를 추가 보급하는 등 화재 예방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전기차 화재와 관련한 환경부 사업에 참여해 과부화 방지효과와 열 감지시 충전을 자체 중단하는 PLC(전력선 통신)모뎀을 장착한 완속 충전기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관계자는 "옥내에 있는 전기차 충전기를 옥외로 이전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 중이다"며 "반기 별로 전기차 충전기 전수 점검을 진행하는 등 학생들이 안전하게 학교를 다닐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