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대 국감 '청렴도 4년 연속 최하위·개인정보 유출' 지적


전북대학교의 종합 청렴도 평가에서 4년 연속 최하위를 받았다는 지적이 국정감사에서 제기됐다. 

17일 오후 광주시교육청에서 열린 전북대학교와 전북대학교병원 등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에서 청렴도 4년 연속 최하위, 32만명의 개인정보 유출, 전북대병원 의료 공백 사태 등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김용태 국민의 힘 의원은 전북대가 교수 인사 및 연구비 횡령 등으로 종합 청렴도 평가에서 4년 연속 최하위를 받은 것에 대해 짚었다.

김 의원은 "국공립대학으로 가장 청렴도에 신경써야 할 전북대가 지난 2022년 이미 교수 인사 등으로 지적을 받았는데 달라진 점이 없어 여전히 최하위를 유지하고 있다"며 "청렴도를 향상하기 위해 노력은 하고 있느냐"고 지적했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청렴도 향상을 위해 나부터 노력하고 있고, 대학 내 직원, 학생 할 것 없이 청렴도 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을 수 있게 만들고 있다"며 "부족한 부분은 컨설팅을 받아 개선에 적극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김용태 의원은 전북대가 통합정보시스템 해킹으로 32만 명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 7월 통합정보시스템 '오아시스'가 해킹 공격을 받아 재학생과 졸업생 등 약 32만 명의 이름과 생년월일, 전화번호, 학점, 학사 정보를 비롯한 74개 항목의 정보가 유출됐다.

김 의원은 "그동안 교육 관련 기관에서 크고 작은 해킹 사건이 있었지만 전북대의 32만명 개인정보가 탈취된 사건은 충격이었다"며 "피해에 대한 복구와 보상은 어떻게 진행되고, 유출된 개인정보가 어떻게 악용되고 있는지 파악되고 있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양 총장은 "지난 7월 해킹 발생으로 1300여 명의 항의 전화가 있었다"며 "아직까지 2차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보안 강화 시스템 도입과 2차 인증 시스템, 차세대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다시 한번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정을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의대 증원'으로 인한 문제점도 짚었다. 

정 의원은 "의대 증원을 문제로 의료 공백 사태, 의대생 집단 반발, 의대생 휴학 승인 여부 등 대학들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성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